회사 서버 잘 쓰다가 갑자기 방화벽 설치한다고 한다.

그래서 방화벽 내가 설치하고 NAT 설정 했는데 문제는 파일질라로 FTP 잘만 되던게 안되기 시작했다. 

방화벽이 없었을때는 NAT 설정해서 사용했는데 지금은 해결이 안되기 때문에 FTP 설정을 다시 했다.

 

vsftpd 설치

# apt install vsftpd

vsftpd가 설치가 되고 실행된다. 실행이 잘 되고 있는지 상태를 확인해야한다.

service vsftpd status

ftp 포트가 LISTEN 중인지 확인해보자

# netstat -natp | grep ftp

이제 환경설정을 해야한다.

# vi /etc/vsftpd.conf

나의 경우엔 아무것도 안써있었다. 그래서 자신에 상황에 맞게 아래의 링크에서 참고하여 설정했다.

https://security.appspot.com/vsftpd/vsftpd_conf.html

 

Manpage of VSFTPD.CONF

VSFTPD.CONF Section: File Formats (5) Index Return to Main Contents   NAME vsftpd.conf - config file for vsftpd   DESCRIPTION vsftpd.conf may be used to control various aspects of vsftpd's behaviour. By default, vsftpd looks for this file at the location

security.appspot.com

이제부터 환경설정인데 두가지다.

1. 방화벽 없이 PC 통신일 경우

액티브 모드만으로도 충분할 겁니다. 근데 파일 리스트라던지 데이터 통신이 안된다면 아래 2번 방법을 해보자.

listen=YES
listen_ipv6=NO		// 1, 2번은 주석이 아니니 설정 변경하세요

listen_port=21		// 주석해제

2. 만약 방화벽 같은 게 있다면 아래의 방법을 참조

패시브 모드가 필요하다. 액티브와 패시브 모드는 나도 잘 모른다. 대충 알아만봤다.

그리고 처음 두 줄은 주석이 해체되어있다. 그러니 아래처럼 변경해주고 listen_port 부터는 그냥 귀찮으니 맨 밑에 쓰자.

listen=YES
listen_ipv6=NO		// 1, 2번은 주석이 아니니 설정 변경하세요

listen_port=21		// 주석해제
pasv_min_port=60020
pasv_max_port=60030

 

공통적으로 1번 방법은 포트포워딩에서 TCP 21, 2번 방법은 TCP 21. 60020~60030을 같이 열어줘야 한다. 

 

* 로그인 및 파일전송 로그는 /var/log/vsftpd.log 파일에 기록

/etc/ftpusers 파일에 쓰여진 사용자는 FTP 로그인이 거부

 

아직까지 잘 모르겠지만 서비스 재시작하면 완료다.

# service vsftpd restart

* 보통 접속시 active mode로 하며 접속은 되는데 파일리스트가 제대로 안보이거나 파일 전송이 안되는데 대부분 방화벽이 주 원인이다. 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가 알려준 포트로 접속을 했는데 방화벽에서 차단을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passive mode 포트를 입력하고 방화벽에서 해당 포트를 열어주면된다.

728x90

우분투서버로 파일질라를 통해 FTP 접속하여 파일을 옮기려는 중에 에러가 생겨서 파일이 정상적으로 옮겨지지 않았습니다.

Response: 553 Could not create file.

Error: Critical file transfer error

왠지 바로 느낌이 왔습니다. ROOT 권한에 때문이란 것을요

파일질라에서는 root 로그인이 안되더라고요

일반 계정에 root 권한을 주거나 아니면 일반 계정도 폴더나 파일을 수정할 수 있는 권한을 줘야하는 것 같습니다.

답은 생각보다 간단했습니다.

여기서 username은 계정 명을 써주시면 됩니다.

sudo chown -R username /경로,폴더명/...

 

728x90

 

Broker(Mosquitto)설치 하는데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Mosquitto 설치 명령어

sudo apt-get install mosquitto

잘 설치 됐나 확인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mosquitto

port 번호가 나옵니다. 

백그라운드에서 잘 실행되고 있나 확인도 해보겠습니다.

netstat -anv | grep LISTEN

0.0.0.0:1883이 바로 mosquitto 입니다.

client는 우분투서버에서 같이 할 수 있지만 Node.js나 다른 걸로 조금 더 보기 편한 걸로 하겠습니다.

728x90

Ubuntu Server 20.04 LTS IP 고정 할당 입니다.

대부분 DHCP 만 썼었는데 서버인 만큼 IP 고정 할당을 해보려고 합니다.

우선 root 계정으로 하거나 아니면 vi 할때 sudo 추가 하셔야 됩니다.(root 권한으로 안하면 변경이 안됩니다.)

vi /etc/netplan/00-installer-config.yaml

※ 마지막 파일은 다를수도 있습니다. cd로 가서 ls 해보는걸 추천.

vi로 들어가면 밑에 사진 처럼 나옵니다.

그러면 dhcp4를 지워지고 밑에 정보를 추가해주시면 됩니다.

addresses와 gateway4는 자신의 환경에 맞춰서 변경 해주세요

network:
  ethernets:
    ens160:
      addresses:
      - 192.168.1.60/24
      gateway4: 192.168.1.1
      nameservers:
        addresses:
        - 8.8.8.8
        search:
        - 8.8.4.4
  version: 2

그리고 변경하고 나와서

netplan apply 명령어 실행하시면 됩니다.

728x90

+ Recent posts